배상의학

부정유합

신체 손해사정사 2013. 11. 20. 10:47

부정유합
1. 서설
부정유합은 골절된 골편이 해부학적 위치가 아닌 비정상적인 위치에서 골유합된 상태를
말한다.
2. 유형
각형성, 중첩, 회전, 변형 등이 있다.
3. 원인
1) 중추신경계의 심한 손상을 동반한 골절로 내고정 정복이 어려운 경우
2) 연부조직의 심한 손상을 동반한 골절로 내고정 정복이 어려운 경우
3) 부정확한 정복
4) 불충분한 고정
5) 부주의한 환자의 과실
4. 치료
1) 회전 변형은 교정수술을 하는 것이 좋다.
2) 소아골절은 자연교정을 지켜보면서 수술여부를 판단한다.
3) 교정수술은 골유합 후 6-12개월 후에 하는 것이 좋다.
5. 후유장해와 유의할점
1) 장해는 강직, 각형성, 내외반 변형, 내외전 변형, 단축, 연장 등이 있다.
2) 인정하는 골은 쇄골, 견갑골, 상박골, 요골, 척골, 골반골, 대퇴골, 경골이다.
3) 강직과 변형장해는 병합이 가능하나, 변형과 단축장해는 높은 것만 인정한다.

'배상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관절 인대의 손상  (0) 2013.11.20
배상의학 정리  (0) 2013.11.20
불유합  (0) 2013.11.20